항공안전법

[항공 지식] 항공안전법(5) - 항공기 사고 조사 절차와 법적 대응

hzppyday 2025. 3. 27. 21:44

hzppy_day :: 요술램프   지니

1. 항공기 사고 조사 절차

(1) 사고 발생 즉시 초기 대응

항공기 사고가 발생하면, 먼저 항공사 및 관할 기관이 신속하게 대응에 나섭니다. 대한민국에서는 국토교통부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ARAIB)가 조사를 담당하며, 국제적인 기준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Annex 13에서 정하고 있습니다.

주요 초기 조치:

  • 항공사 및 공항 운영기관의 사고 보고
  • 승객 및 승무원의 긴급 구조 및 의료 지원
  • 사고 현장 보존 및 증거 수집 시작

(2) 사고 조사 진행 과정

본격적인 사고 조사는 사고 원인을 철저히 분석하고, 향후 유사 사고를 방지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1. 증거 수집 및 분석: 블랙박스(FDR, CVR) 데이터 확보, 항공기 잔해 분석, 관제기록 검토
  2. 관련자 인터뷰: 조종사, 관제사, 승무원 및 생존자 증언 확보
  3. 기술적 분석: 기체 결함, 기상 조건, 조종 실수 여부 검토
  4. 최종 보고서 작성 및 발표: 사고 원인 및 개선 방안 제시

국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사고일 경우, 미국 NTSB(국가교통안전위원회) 등 해외 조사기관이 공동으로 조사에 참여하기도 합니다.


2. 항공기 사고의 법적 대응

(1) 책임 소재에 따른 법적 절차

사고 원인에 따라 법적 대응 방식이 달라집니다.

  1. 조종사 과실: 항공안전법에 따라 조종사 면허 정지 또는 형사 책임 발생 가능
  2. 항공사 관리 소홀: 항공보안법 및 항공안전법 위반 여부 조사 → 과징금 및 사업 개선 명령
  3. 항공기 제조 결함: 제조사에 대한 법적 소송 가능(예: 보잉 737 MAX 사건)
  4. 공항 관제 문제: 관제사의 실수로 판명될 경우, 해당 기관 및 정부 당국의 책임 검토

(2) 최근 사례 (2025년 최신 사례 반영)

2025년 1월, 한 국내 항공사가 운항하던 여객기가 랜딩 기어 고장으로 비상 착륙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기체 손상 및 공항 운영 차질이 발생했습니다. 조사 결과, 해당 항공사는 유지보수 기록을 일부 누락한 것으로 밝혀졌고, 국토교통부는 운항 정지 및 과징금 10억 원을 부과했습니다. 이 사건은 항공기의 정기적 정비와 기록 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3. 사고 예방을 위한 법적 개선 방향

항공기 사고를 줄이기 위해 정부와 항공사는 지속적인 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항공사 안전감독 강화 및 사고 보고 절차 간소화를 골자로 하는 항공안전법 개정이 논의되고 있으며, ICAO도 항공기 제조사의 결함 보고 의무를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4.  마무리: 신속한 조사와 예방이 핵심

항공기 사고는 단순한 사건이 아니라, 수많은 사람들의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철저한 조사와 명확한 법적 조치를 통해 같은 사고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들어 항공 사고가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항공업계 종사자뿐만 아니라 일반 승객들도 안전 규정을 준수하고, 항공 사고의 원인과 대응 방식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