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보안법

[항공 지식] 항공보안법(5) - 기내 반입 금지 물품: 법적 규정과 최신 개정 사항

hzppyday 2025. 3. 25. 06:35

hzppy_day :: 요술램프 지니

1. 기내 반입 규정이 중요한 이유

항공 여행을 할 때 공항 보안 검색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물품이 반입 금지 대상이라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이러한 제한은 단순한 규칙이 아니라, 항공기의 안전과 승객 보호를 위한 필수 조치입니다. 특히 최근 전자기기와 배터리 관련 사고가 증가하면서 기내 반입 금지 물품에 대한 규정이 더욱 강화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기내 반입 금지 물품의 법적 근거와 최신 개정 사항을 살펴보고,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배터리 폭발 사고 사례를 통해 그 중요성을 강조하겠습니다.

2. 기내 반입 금지 물품의 법적 근거

기내 반입 금지 물품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및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규정을 기반으로 각국의 항공보안법에 따라 구체적으로 지정됩니다. 한국에서는 항공보안법항공안전법을 통해 이를 규정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법 조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항공보안법 및 항공안전법 주요 조항

  • 항공보안법 제23조: 위해물품(폭발물, 무기류, 유독물 등)의 기내 반입 금지
  • 항공안전법 제50조: 리튬 배터리, 가연성 물질 등 특정 위험 물질의 운송 규정
  • 국토교통부 고시: 항공사 및 공항별 반입 금지 품목 세부 지정

3. 최신 개정 사항: 2025년 강화된 배터리 관련 규정

2025년부터 시행되는 새로운 항공 보안 규정에서는 리튬 배터리 및 전자기기의 기내 반입 조건이 한층 강화되었습니다. 주요 개정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리튬이온 배터리 용량 제한 강화: 기내 반입 시 100Wh 이하 배터리만 허용하며, 100Wh~160Wh 배터리는 항공사 사전 승인 필수.
  • 배터리 개별 포장 의무화: 배터리를 개별적으로 절연 포장해야 하며, 여분 배터리는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 기내 수하물로만 운송 가능.
  • 스마트 캐리어 배터리 제거 의무화: 분리형 배터리가 없는 스마트 캐리어는 위탁 수하물로 보낼 수 없음.
  • 전자담배 및 휴대용 충전기 사용 제한: 기내에서 충전 금지 및 일부 항공사는 완전 반입 금지.

4. 최신 사례: 2025년 인천공항 리튬 배터리 폭발 사고

사건 개요

2025년 3월, 인천국제공항 출발 국제선 항공기에서 리튬 배터리로 인한 화재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승객이 기내에서 사용하던 대용량 보조배터리가 과열되면서 갑작스럽게 폭발하여, 인근 승객들이 연기에 의해 호흡 곤란을 겪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사고 원인 및 대응

조사 결과, 해당 보조배터리는 비인증 제품으로, 제조 기준을 충족하지 않은 저품질 배터리였습니다. 승무원들은 즉각적인 대응을 통해 불을 진압했으며, 항공기는 안전을 위해 공항으로 회항하였습니다. 이후 국토교통부는 비인증 배터리의 기내 반입을 전면 금지하는 추가 규정을 발표하였으며, 보조배터리 제조업체에 대한 관리 감독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5. 기내 반입 금지 품목 주요 리스트 (2025년 기준)

① 전자기기 및 배터리 관련

  • 100Wh 초과 리튬이온 배터리 (기내 반입 불가, 위탁 수하물 금지)
  • 미인증 보조배터리 및 전자담배
  • 충전식 전동 킥보드, 전동 휠, 전동 스케이트보드

② 무기 및 위험 물품

  • 총기류, 전기 충격기, 날붙이류(칼, 가위 등 6cm 이상)
  • 폭죽, 신나, 인화성 액체

③ 기타 유해 물질

  • 강한 자성을 띠는 물질 (항공기 전자기기 오작동 유발 가능)
  • 유독성 화학물질 및 방사성 물질

6. 결론

최근 발생한 배터리 폭발 사고로 이제는 기내 반입 금지 물품 규정에 대해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이는 항공기의 안전 운항을 위한 필수적인 조치이며, 승객들이 이를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배터리 관련 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최신 개정 사항을 숙지하고 안전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번에는 다행히도 출발직전 폭파에 큰 사고는 막았지만 비행중 폭파가 된다면 정말.. 상상하기도 싫은 일이 벌어질 것입니다. 모두의 안전을 위해 앞으로도 법적 규정이 지속적으로 강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항공 여행객들은 이에 대한 정보를 미리 확인하고 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